스프링 프레임워크 따라해보기 - 멀티 모듈과 빈 생성 및 등록 멀티 모듈로 변경한 이유먼저 다른 기능들을 구현해보기에 앞서 멀티모듈로 변경한 이유부터 말해보려 한다.기존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한 개의 src 파일 아래로src| - framework| - project이런식으로 2개의 패키지를 구성해서 framework 패키지 아래로는 스프링을 따라해본 구현체를 사용하고, project 패키지에는 우리가 흔히 웹 서비스를 만드는 것처럼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를 사용하려고 했다. 그런데, 곰곰히 생각을 해보니 결국 framework 패키지는 외부에서 주입받아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1모듈 2패키지가 아니라, 2모듈 2패키지로 진행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서 분리를 하게 되었다. 또한, 앞선 글에서는 basepackage를.. 스프링 프레임워크 따라해보기 - 컨트롤러 매핑과 응답 전송 앞에서는 웹 서버를 구축하여 Http 요청을 받고 기본적인 응답을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했다.스프링 프로젝트를 해 본 사람이라면 모두 알겠지만, @ReuqestMapping, @Controller 등의 어노테이션을 통해서 url을 분석하고 이에 맞는 컨트롤러로 요청을 전달 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이러한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간단하게 작성을 해보자. DispatcherServlet스프링 프레임워크에는 DispatcherServlet이라는 클래스가 있는데 이 클래스의 역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핸들링하고 공통작업을 처리해준다고 한다. DispatcherServlet은 프론트 컨트롤러라고도 부르며, 서블릿 컨테이너의 맨 앞에서 모든 요청을 받아 처리해주는 컨트롤러를 의..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