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프레임워크 따라해보기 - 컨트롤러 매핑과 응답 전송 앞에서는 웹 서버를 구축하여 Http 요청을 받고 기본적인 응답을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했다.스프링 프로젝트를 해 본 사람이라면 모두 알겠지만, @ReuqestMapping, @Controller 등의 어노테이션을 통해서 url을 분석하고 이에 맞는 컨트롤러로 요청을 전달 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이러한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간단하게 작성을 해보자. DispatcherServlet스프링 프레임워크에는 DispatcherServlet이라는 클래스가 있는데 이 클래스의 역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핸들링하고 공통작업을 처리해준다고 한다. DispatcherServlet은 프론트 컨트롤러라고도 부르며, 서블릿 컨테이너의 맨 앞에서 모든 요청을 받아 처리해주는 컨트롤러를 의.. 스프링 프레임워크 따라해보기 - 웹 서버 구축 Java 언어 및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며 방대한 양에 어느 정도 공부를 진행했다고 생각하였지만 실제로는 충분히 이해를 하지 못한 채 사용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계속해서 들게 되었다.(예를 들어, 코드를 작성할 때는 그저 플로우에 맞춰서 작성을 하고 문제가 발생하고 나서야 부랴부랴 원인을 찾게 된다. SecurityConfig에서 무한재귀가 발생한 일도 이러한 이유때문이지 않을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좋은 방법이 뭐가 있을까 고민하던 와중, 간단하게라도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구현해보면 추후 더 좋은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개인적으로 빠르게 미니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구현해보려 한다.서버 실행먼저,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웹 서버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 이전 1 다음